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그동안 게임 관련된 포스팅은 한 적이 없는 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게임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게임을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스팀(Steam)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스팀은 현재 가장 크고 유명한 PC 게임 플랫폼으로, 전 세계의 수많은 게이머들이 이용하는 서비스죠.
하지만 스팀이 처음부터 이렇게 거대한 플랫폼이었던 것은 아니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스팀은 전 세계 최고의 게임 플랫폼이 되었는지, 다른 게임 플랫폼과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볼까요?
1. 스팀(Steam), 세계 최대의 PC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은 PC 게임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게임을 구매하고, 친구들과 함께 플레이하고, 게임 커뮤니티 활동까지 가능한 플랫폼이죠.
📌 스팀의 핵심 기능
✔ 게임 구매 & 다운로드 – CD 없이 인터넷으로 게임을 구매하고 바로 설치 가능
✔ 업데이트 자동 적용 – 게임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해 줌
✔ 커뮤니티 기능 – 친구 추가, 게임 채팅, 게임 평가 & 리뷰 가능
✔ 클라우드 저장 – 게임 데이터를 저장해 다른 PC에서도 이어서 플레이 가능
✔ 할인 이벤트 – 스팀 세일 기간에 게임을 저렴하게 구매 가능
이렇듯 스팀은 단순한 게임 스토어가 아니라, 게임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올인원' 플랫폼입니다.
2. 스팀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그렇다면 스팀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1) 스팀을 만든 회사는? : 개임 회사 밸브(Valve)
✅ 밸브(Valve)는 미국의 게임 개발 회사로, 1998년 인기 게임 "하프라이프(Half-Life)"를 출시하며 유명진 회사입니다.
✅ 하지만, 온라인 게임이 점점 대중화되면서 해킹 & 불법 복제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 "우리가 직접 게임을 안전하게 배포할 방법을 만들자!"라는 아이디어로 스팀이 탄생한 것입니다.
💡 스팀은 원래 밸브가 자사 게임을 배포하려고 만든 플랫폼
2) 2003년 스팀 출시, 하지만 냉랭한 초기 반응
✅ 2003년, 밸브는 스팀을 출시하고, "앞으로 우리 게임은 스팀에서만 실행됩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 하지만 당시 게이머들은 "왜 인터넷에서 게임을 다운로드해야 해?"라며 반발이 거셌죠.
✅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CD를 직접 사서 설치하는 방식에 익숙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이런 반발은 당연한 것이었습니다.
📌 하지만 밸브는 포기하지 않았다!
✔ 2004년, 스팀에서만 실행 가능한 게임 "하프라이프 2(Half-Life 2)"를 출시했습니다.
✔ 게임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스팀을 설치해야 했죠.
✔ 이 전략이 성공하면서, 스팀은 점점 게이머들에게 익숙한 플랫폼이 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처음에는 반발이 있었지만, 강력한 독점 콘텐츠 덕분에 스팀이 점점 자리를 잡기 시작했던 것이죠.
3. 최고가 된 이유
1) 온라인 다운로드 시스템 : CD 없이 게임을 즉시 플레이
✅ 과거에는 게임을 하려면 CD(패키지)로 구매해서 설치해야 했습니다.
✅ 하지만 스팀은 게임을 온라인에서 바로 구매 &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죠.
✅ 이 덕분에, 게임이 사라질 걱정 없이 언제든 다운로드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 스팀 세일 : 파격적인 할인 이벤트
✅ 스팀 세일(Steam Sale)은 스팀이 유명해진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스팀에서는 특정 기간마다 최대 90%까지도 할인하는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덕분에 게이머들은 저렴한 가격에 여러 게임을 구매할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스팀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되었죠.
💡 스팀 세일은 스팀은 "게임을 싸게 살 수 있는 곳"으로 이미지 메이킹을 확실하게 해 주었습니다.
3) 인디 게임 개발자 지원 : 누구나 게임을 출시할 수 있다!
✅ 과거에는 게임을 만들려면 큰 회사의 도움 없이 출시하기 어려웠습니다.
✅ 하지만 스팀은 인디 게임 개발자들도 손쉽게 게임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었죠.
✅ 언더테일(Undertale), 배틀그라운드(PUBG) 같은 유명한 게임도 처음에는 인디 게임으로 스팀에서 출시되었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 스팀 덕분에 작은 개발사들도 게임을 쉽게 출시할 수 있었고, 새로운 히트작들이 탄생했다!
4. 스팀, 단연 최대의 게임 플랫폼
아직 스팀이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 플랫폼인지 체감이 안 되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아래 표에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 2024년 기준, 주요 게임 플랫폼별 월간 활성 사용자(MAU, Monthly Active Users) 비교
게임 플랫폼 | 월간 활성 사용자(MAU) | 주요 특징 |
Steam (스팀) | 약 1.32억 명 | 세계 최대 PC 게임 플랫폼, 수천 개의 게임 보유 |
PlayStation Network (PSN) | 약 1.1억 명 | 소니의 콘솔(PS5, PS4) 온라인 서비스 |
Xbox Live | 약 1억 명 |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 PC 게임 플랫폼 (Game Pass 포함) |
Epic Games Store | 약 7,000만 명 | "포트나이트"로 유명, 무료 게임 & 독점 게임 제공 |
Nintendo Switch Online | 약 3,600만 명 |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 |
GOG (Good Old Games) | 약 1,500만 명 | DRM-Free 게임 판매, 클래식 게임 중심 |
EA 앱 (구 오리진, EA Play) | 약 1,400만 명 | EA의 독점 게임 제공 (FC, 배틀필드, 심즈 시리즈 등) |
Ubisoft Connect | 약 1,200만 명 | 유비소프트 독점 게임 제공 (어쌔신 크리드, 파 크라이, 더 디비전 등) |
📌 스팀이 1위인 이유?
✔ 가장 많은 게임을 제공 (약 5만 개 이상)
✔ 수많은 인디 게임 & 대작 게임이 스팀에서 출시됨
✔ 사용자 친화적인 커뮤니티 & 리뷰 시스템
✔ 스팀 세일 덕분에 가성비 좋게 게임을 구매 가능
PC 게임플랫폼에서는 단연 1위이고, 콘솔로 범위를 넓혀도 가장 사용자가 많다는 사실. 이제 이해되셨나요?
이렇듯 스팀은 단순한 게임 스토어가 아니라, '게임을 더 쉽게 사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세계 1위가 되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저도 PC게임은 스팀을 통해서만 즐기게 되었는데요. 가끔씩은 예전의 CD게임이 그리울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CD게임은 PS5로 따로 즐길 정도로 게임에 진심이랍니다. 이후 포스팅에서는 게임 리뷰도 가끔씩 풀어드릴게요!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는 원래 착한 사람들이었다? 해킹의 탄생과 오해 (0) | 2025.02.10 |
---|---|
컴퓨터를 오래 하면 왜 다음날이 피곤할까? (0) | 2025.02.10 |
웹사이트는 어떻게 나타나는 걸까? (0) | 2025.02.09 |
플랫폼(Platform)이 무슨 뜻이더라? (0) | 2025.02.09 |
그래픽 카드 없이도 게임이 돌아간다고? (0) | 2025.02.09 |
VPN이 뭐길래 쓰라는 걸까? (VPN 추천 포함) (0) | 2025.02.09 |
NFT, 요즘은 왜 조용한가 (0) | 2025.02.08 |
IP 주소? 그게 그렇게 중요해?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