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IT, 0과 1이 만드는 세계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여러분께 IT에 대해서 쉽게 알려드리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한 블로그, 생각해보니 IT의 근원에 대해서는 안 다뤘던 것 같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 심오할 수 있지만 원리부터 한 번 파고드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1. 컴퓨터는 어떻게 생각할까?

우리는 숫자를 1, 2, 3, 4… 이렇게 세고, 글자를 조합해 단어를 만듭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인간처럼 숫자나 문자를 직접 이해하지 못합니다. 컴퓨터는 오직 단 두가지 신호만 구분할 수 있죠.

 

전기가 흐르는 상태(1)
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0)

 

이 두 가지 상태를 조합한 것이 바로 이진법(Binary System)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문자, 숫자, 사진, 동영상까지도 0과 1의 조합으로 변환되어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단순한 0과 1만으로 어떻게 이렇게 복잡한 세상을 만들 수 있었던 걸까요? 지금부터 이진법이 어떻게 컴퓨터 세계를 만들어냈는지 알아봅시다!

IT, 0과 1이 만드는 세계


2. 이진법이란? 왜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할까?

먼저, 이진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는지 간단히 한 번 볼까요?

 

🔹 이진법(Binary) = 0과 1만 사용하는 숫자 체계

우리는 보통 10진법(Decimal, 0~9까지의 숫자 사용)을 쓰지만, 컴퓨터는 이진법(0과 1만 사용)을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생각해보면 간단한데요. 컴퓨터는 전기 신호로 동작하며, 전류가 흐르거나(1), 흐르지 않는(0) 두 가지 상태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예시: 10진법 vs 2진법 비교
✔ 10진법 숫자 5 → 이진법으로 101
✔ 10진법 숫자 8 → 이진법으로 1000
✔ 10진법 숫자 13 → 이진법으로 1101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나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하려면, 반드시 0과 1로 변환해야 하는 것이죠!


3. 이진법이 어떻게 모든 것을 표현할까?

"0과 1만으로 어떻게 사진, 음악, 동영상까지 만들 수 있을까?"
이진법은 단순해 보이지만, 모든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강력한 시스템이랍니다.

 

🔹 컴퓨터에서 이진법이 사용되는 예시

문자(텍스트) → ASCII, 유니코드
👉 예: ‘A’ = 01000001, ‘B’ = 01000010

이미지 → 픽셀 색상값(RGB)
👉 예: 빨간색 = (255, 0, 0) → 이진법으로 변환하면 11111111 00000000 00000000

소리(음악) → 디지털 오디오 변환
👉 예: 마이크로 입력된 아날로그 소리를 **0과 1의 조합(디지털 신호)**로 변환

영상(동영상) → 수많은 이미지 프레임 + 음성 데이터
👉 예: 초당 60프레임(이미지 60장)을 연속 재생 → 디지털 영상 완성

 

우리가 보는 모든 디지털 콘텐츠는 결국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 덩어리인 셈입니다.

 


4. 이진법 덕분에 컴퓨터가 빠르고 정확할 수 있다!

이진법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 컴퓨터의 계산 속도를 극대화하는 핵심 원리이기도 합니다.

 

📌 왜 10진법이 아니라 2진법을 사용할까?
✔ 10진법(0~9)은 각 자리마다 10가지 경우를 처리해야 해서 회로 설계가 복잡해진다.
✔ 2진법(0, 1)만 사용하면 간단한 회로 구조로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 이진법을 사용하면 전압 변화만으로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컴퓨터가 0과 1만 이해하는 이유는 단순히 전기 신호 때문이 아니라, 연산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방식이기 때문이에요.


5. 이진법이 없었다면, 컴퓨터도 없었다!

현대의 IT 세계는 이진법 덕분에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컴퓨터가 처음 발명될 때부터, 모든 디지털 기기가 작동하는 원리는 이진법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이죠.

 

📌 이진법의 발전과 IT 기술
1837년 –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 최초의 기계식 컴퓨터 설계
1937년 –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 논리 회로와 이진법의 관계를 증명
1940년대 – 최초의 디지털 컴퓨터(ENIAC) 개발 → 완전한 이진법 컴퓨터 등장!
현대 IT 시대 – 스마트폰, AI, 인터넷, 모든 디지털 기술이 이진법 기반으로 동작

 

우리는 숫자로 계산하지만, 컴퓨터는 오직 0과 1만으로 우리와 소통하고 있는 원리입니다. 그 단순한 원리가 오늘날의 스마트폰, 인공지능, 자율주행차까지 발전하게 만든 것이죠!


이번 포스팅은 조금 어렵지 않으셨나요?

 

오랜만에 수학 공부하는 느낌도 살짝 드셨을 것 같은데요. 낱낱이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재미로, 만화책 보듯이 훑고 넘어가셔도 전혀 지장이 없는 주제니까요.

 

다만 IT 블로거(자칭)으로서, 한 번쯤은 포스팅하고 싶은 주제 중에 하나였고, 앞으로도 가끔씩 이런 글이 튀어나올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