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내 개인정보는 정말 유출됐을까?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한 번쯤 상상해보신 적 있으시죠? 내 개인정보가 어디까지 팔려(?) 있는지 말이에요. 이번 포스팅에서 한 번 짚어드릴게요! 확인하는 법과 보호하는 방법까지 놓치지 마세요!
 

1. 내 정보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다고?

어느 날 친구에게서 이런 메시지가 옵니다.
 
💬 "너 이메일 해킹당한 거 아냐? 이상한 스팸 메일이 너한테서 왔어!"
황급히 비밀번호를 바꿔보지만, 찝찝한 기분은 끝내 사라지질 않죠.
 
내 개인정보, 혹시 인터넷 어딘가에 떠돌고 있는 건 아닐까?
누군가 내 이메일, 전화번호, 심지어 주소까지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 놀랍게도, 당신의 개인정보는 이미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해킹, 데이터 유출, SNS 공개 설정 실수 등으로 인해 수많은 우리의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는 것입니다.
 

내 개인정보, 정말 유출됐을까?


2.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노출되는 경로

"나는 해킹당한 적도 없고, 개인정보를 함부로 공유한 적도 없는데?"
하지만 우리도 모르는 사이, 여러 경로로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습니다.
 
🔹 1) 해킹 & 데이터 유출 사고
✅ 2021년, 페이스북 5억 명 사용자 개인정보 유출
✅ 2022년, 넷플릭스 계정 대량 유출 사건
✅ 2023년, 한국 대형 쇼핑몰 고객 정보 해킹 피해
💡 즉, 내가 가입한 사이트에서 해킹이 발생하면, 내 정보도 같이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 2) 내가 무심코 공개한 정보
✅ SNS에 올린 사진 속 배경에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음.
✅ 커뮤니티 사이트 가입 시, 전화번호, 이메일을 그대로 입력했다면?
✅ 온라인 쇼핑몰 리뷰에 내 이름과 위치가 포함되었다면?
💡 이런 작은 실수들이 모이면, 내 정보는 쉽게 노출될 수 있다!
 
🔹 3) 다크웹에서 거래되는 개인정보
✅ 해킹으로 유출된 계정 정보는 다크웹(Dark Web)에서 사고팔린다.
✅ 이메일과 비밀번호가 1~2달러에 거래되는 경우도 흔하다.
✅ 이름, 전화번호, 주소가 함께 유출되면 보이스피싱이나 금융 사기에 악용될 수도 있다.
💡 즉, 한 번 유출된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사용될지 아무도 모른다.

 


3. 내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법

그렇다면 내 정보가 이미 유출되었는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아래 방법을 통해 쉽게 확인하실 수 있답니다.
 
🔹 1) ‘Have I Been Pwned’ 사이트에서 이메일 유출 여부 확인
✅ 사이트 접속: https://haveibeenpwned.com
✅ 이메일 입력 후 ‘pwned?’ 버튼 클릭
✅ 만약 "Oh no! Pwned!" 메시지가 뜬다면, 내 이메일이 유출된 것!
💡 즉시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2단계 인증(2FA)을 설정해야 한다!
 
🔹 2) 구글 검색으로 내 정보 확인하기
구글 검색창에 내 이메일, 전화번호 입력 후 검색
✅ 예시: "홍길동 010-XXXX-XXXX"
✅ 내 정보가 이상한 사이트에 올라와 있다면, 해당 사이트에 삭제 요청 필요
💡 SNS 계정이 검색되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개인정보 설정을 다시 확인해 보자!
 
🔹 3) 다크웹에서 내 정보가 거래되고 있는지 확인
✅ 일부 보안 업체(노턴, 맥아피)는 개인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비트코인으로 판매되는 계정 정보가 있는지 확인 가능
✅ 금융 관련 정보(카드 번호 등)는 보안 기관에 신고 가능
💡 만약 다크웹에서 내 정보가 유출되었다면, 신속히 비밀번호 변경 및 금융기관에 확인 요청해야 한다.


4. 내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방법

정보가 이미 유출되었다면, 이제부터라도 추가 피해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아래 방법을 바로 실천해 보실까요?
 
🔹 1) 비밀번호 강력하게 설정 & 주기적으로 변경
"123456", "password", "qwerty" 같은 쉬운 비밀번호 절대 사용 금지!
사이트별로 다른 비밀번호 사용하기 (비밀번호 관리자 프로그램 활용 추천)
최소 12자리 이상, 대소문자 + 숫자 + 특수문자 조합 사용
 
🔹 2) 2단계 인증(2FA) 설정하기
✅ 이메일, SNS, 은행 사이트는 2단계 인증(OTP, 문자 인증) 필수 설정
✅ 만약 비밀번호가 유출되더라도 추가 인증 없이는 로그인 불가능
 
🔹 3) 불필요한 계정 삭제하기
✅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 계정이 많다면 탈퇴 후 데이터 삭제 요청
✅ 오래된 네이버 카페, 쇼핑몰 계정도 개인정보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 4) SNS & 온라인 커뮤니티 공개 설정 점검
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이 ‘전체 공개’ 상태라면? → 사기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 높음
SNS 프로필 & 게시물 설정을 ‘친구 공개’로 변경
✅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쓸 때, 실명이나 전화번호 입력 금지


자, 인터넷에서 우리의 개인정보가 떠돌고 있을 가능성이 생각보다 크다는 점, 와닿으시나요? 해킹, 실수로 공개된 정보, 다크웹에서 거래되는 개인정보 등 다양한 경로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이미 유출된 개인정보, 버려야 할까요? 2차 범죄를 막기 위해서라도 점검하고 보호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