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66)
USB-C 통일 시대, 정말 편리해질까?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여러분 혹시 예전 USB 포트 모양 기억 나시나요?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 기기마다 충전 단자가 달랐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USB-C(USB Type-C)가 주요 포트로 자리 잡으며 '통일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USB-C를 스마트폰, 태블릿 같은 기기의 공통 충전 포트로 지정했습니다. 애플도 USB-C를 아이폰에 도입하면서, 앞으로 모든 기기가 USB-C로 통일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죠. 이러한 규격 통일은 과연 완벽한 해결책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올까요? 이제부터 함께 보시죠! 1. 기존 USB와 무엇이 다를까?오늘도 어..
매트릭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빨간 약을 먹을 것인가, 파란 약을 먹을 것인가?" 여러분, 이 대사 기억 나시나요? 2000년대 초반, 전세계를 센세이셔널하게 만든 영화 '매트릭스' 속 대사입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SF 영화는 아니라른 평가가 지배적이었죠. 이 영화는 컴퓨터, 인터넷, 해킹,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등 IT 기술과 깊이 연관되어있고, 지금도 많은 IT 전문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는 영화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트릭스와 IT는 어떤 관련이 있는 건지, 영화 속 개념이 현실 IT 기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1. 매트릭스 속 세계는 가상 현실(VR)이다영화 속에서 인간들은 '매트릭스'라는 가상 세계에 갇혀 있는 ..
서버? 호스트? 그게 그 말 아니야?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랜만에 용어 풀이 한 번 들어갑니다. 서버와 호스트, 뭔가 비슷한 의미 같기도 하고 왠지 모르게 헷갈리진 않으셨나요? 이제부터 한 번 풀어보겠습니다.1. 서버(Server),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컴퓨터먼저 서버부터 알아볼까요? 서버(Server)는 ‘요청을 받고, 그 요청을 처리해주는 컴퓨터’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게임을 할 때 서버가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것이죠. 📌 서버를 쉽게 이해하는 예시✔ 레스토랑(서버) & 손님(클라이언트) 비유✅ 손님(클라이언트)이 웨이터(서버)에게 주문을 한다.✅ 웨이터(서버)는 주방에서 음식을 받아와 손님(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인터넷에..
해커 군단은 왜 움직이는가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장난에서 시작된 해킹은 21세기에 이르러서는 개인, 기업, 국가까지 겨냥하는 거대한 전쟁이 되었습니다. 기업의 고객 정보가 통째로 유출되고, 정부 기관이 사이버 공격을 받아 마비되는 사건. 뉴스에서 접해본 적 있으시죠?  이 모든 것 뒤에는 악명 높은 해킹 그룹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전 세계를 뒤흔드는 해킹 그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그들은 누구인가? 1) 어나니머스(Anonymous) : 익명의 해커 군단 ✅ 설립 연도: 2003년경✅ 주요 활동: 정치적 & 사회적 해킹 공격 (핵티비즘)✅ 대표 사건:✔ 2010년, 위키리크스를 지원하다가 비자(Visa), 페이팔(PayPal) 해킹✔ 202..
PS vs Xbox, 두 개의 태양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이번 포스팅은 오랜만에 게임 주제로 들고 왔습니다. 끝나지 않는 논쟁이죠?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PS)와 엑스박스(Xbox), 어떻게 다른지 한 번 파헤쳐봅니다. 우선 두 브랜드는 20년 넘게 "콘솔 전쟁"을 이어오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강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선택이 쉽지 않은데요. 지금부터 하드웨어(성능), 게임(독점작), 서비스(구독형 모델) 등 각자 어떤 콘솔이 더 좋을지 비교해드릴게요! 1. 플레이스테이션 vs 엑스박스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 소니의 대표 게임기 브랜드✅ 소니(SONY)에서 제작한 콘솔 게임기✅ 1994년 1세대 'PS1' 출시 → 현재 'PS5(플레이스테이션 5..
5G와 6G, 인터넷의 미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우리는 지금 5G(5세대 이동통신) 인터넷 세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체감이 되진 않으시죠? 5G가 얼마나 빠른지 느낄 새도 없이, 이제는 6G(6세대 이동통신)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5G와 6G는 정확히 어떤 게 다를까요? 6G가 등장하면 우리의 인터넷 환경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요? 함께 보시죠.1. 5G와 6G란? –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과정5G와 6G, 여기서 G는 Generation(세대)의 약자입니다. 1G → 2G → 3G → 4G → 5G → 6G 순으로 발전하고 있죠. 숫자가 올라갈수록 속도가 빨라지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 이동통신 세대별 차이 세대 주요 특징 속도 (이론상)..
해커는 원래 착한 사람들이었다? 해킹의 탄생과 오해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T의 역사에 대해 한 번 풀어볼게요. 해커는 원래 착한 사람들이었다는 사실,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해커는 원래 ‘악당’이 아니었다?여러분은 해커(Hacker)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왠지 검은 후드티를 입고 어두운 방에서 키보드를 두드리며, 기업과 정부 기관의 서버를 뚫고 중요한 정보를 훔치는 모습이 떠오르실 것 같은데요. 하지만 사실 해커라는 단어는 원래 "컴퓨터 시스템을 깊이 연구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을 의미했습니다. 즉, 해커는 처음부터 "해킹으로 돈을 훔치는 범죄자"가 아니라 "컴퓨터를 자유롭게 다루는 전문가"였던 것입니다..
컴퓨터를 오래 하면 왜 다음날이 피곤할까? 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기분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밤늦게까지 컴퓨터를 하고 나면 그 다음날 괜히 피곤하고, 눈이 잘 안 떠지지는 않으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 모두의 고민이자 걱정인 주제로 한 번 달려봅니다!  1. 왜 이렇게 피곤하지? 컴퓨터를 오래 하면 몸이 힘든 이유밤 늦게까지 게임을 하거나, 업무로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한 다음 날… ✅ 아침에 일어났는데 몸이 무겁다.✅ 눈이 침침하고 뻑뻑하다.✅ 어깨와 허리가 뻐근하다.✅ 머리가 띵하고 집중이 안 된다. 혹시 이런 경험이 있다면, 컴퓨터 사용이 몸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신호일지 모릅니다! 그렇다면 정말 컴퓨터를 오래 하면 다음날 더 피곤한 걸까요?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