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오늘날 많은 기업과 기관은 내부 정보 보호와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적인 내부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를 예전에는 인트라넷(Intranet)이라고도 불렀는데요.
하지만 인트라넷은 단순한 내부 전용 인터넷이 아니라, 특정 목적을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 개념에서 발전해 왔습니다. 기업들은 왜 내부망을 따로 구축하는 것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트라넷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인트라넷(Intranet)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 인트라넷 등장 배경
✅ 인트라넷의 개념은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이 빠르게 확산되던 시기에 등장
✅ 기업들은 인터넷이 보안상 위험이 크다는 점에서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네트워크의 필요성 인식
📌 인트라넷의 핵심 목표
✅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를 외부 인터넷과 분리
✅ 기업 내부 직원만 접근할 수 있는 협업 & 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
✅ 기존 내부 시스템(메일, 문서, 결재 등)을 디지털화하여 효율성 증대
2. 인트라넷 vs 인터넷 vs 폐쇄망
많은 사람들이 인트라넷과 인터넷을 혼동하지만, 사용 목적과 접근 방식이 완전히 다르답니다.
인트라넷(Intranet) | 인터넷(Internet) | 폐쇄망(Closed Network) | |
네트워크 형태 | 내부 전용 네트워크 | 전 세계 공용 네트워크 | 인터넷과 완전 차단된 독립망 |
접근 가능 대상 | 내부 직원만 가능 | 누구나 가능 | 지정된 기기/사용자만 접근 가능 |
보안 수준 | 방화벽 & 제한적 외부 접속 | 해킹 & 정보 유출 위험 있음 | 가장 강력한 보안 환경 |
외부 접속 가능 여부 | VPN, 인증 시스템 등을 통해 가능 | 누구나 접속 가능 | 외부 접속 불가능 |
사용 목적 | 기업 내부 정보 공유 & 협업 | 공용 웹 서비스, 정보 검색 | 극도로 민감한 데이터 보호 |
예시 | 기업 사내망, 그룹웨어, 대학 내부 시스템 | 구글, 네이버, 유튜브 | 군사 네트워크, 금융 전산망 |
📌 인트라넷이 인터넷과 다른 이유
✅ 인터넷은 모두가 연결된 개방형 네트워크로, 웹사이트 검색,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이 가능
✅ 인트라넷은 기업이나 기관 내부 직원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 네트워크
✅ 인터넷과 연결할 수도 있지만, VPN이나 보안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제된 환경에서만 가능
📌 인트라넷과 폐쇄망은 같은 개념이 아닐까?
✅ 인트라넷은 인터넷과 연결될 수도 있지만, 폐쇄망은 외부 인터넷과 완전히 단절된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므로 완전한 보안이 필요한 환경에서만 사용
3. 오늘날 인트라넷은 어떻게 활용될까?
인트라넷은 기업, 공공기관, 학교, 병원, 금융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조직마다 인트라넷을 활용하는 방식이 다르며, 목적에 따라 기능도 다양하게 설계되어 있죠.
1) 대기업 – 글로벌 협업 & 내부 시스템 통합
✅ 다국적 기업이나 대기업은 직원 수가 많고, 해외 지사와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 인트라넷을 적극 활용
✅ 사내 그룹웨어, 문서 관리, 전자결재, 프로젝트 협업 시스템 등이 통합됨
- 삼성전자(삼성웍스): 임직원 대상 그룹웨어 & 협업 시스템 제공
- 현대자동차 – 글로벌 협업 인트라넷: 해외 지사와의 원활한 업무 협업을 위한 시스템 운영
2) IT 기업 – 실시간 협업 & 개발자 친화적 환경 제공
✅ IT 기업들은 업무 특성상 빠른 피드백과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트라넷을 클라우드 & DevOps 환경과 연계
✅ 개발자 간 코드 공유, 실시간 프로젝트 관리, 사내 기술 문서 관리 등이 주요 기능
- 네이버(네이버웍스): 사내 메신저, 클라우드 문서 협업, 근태 관리 기능 제공
- 카카오(카카오워크): 사내 메신저 & 원격근무 지원 시스템 운영
- 구글(Google Intranet): 직원들이 Google Drive, Meet, Docs 등과 연동하여 협업
3) 공공기관 & 정부기관 – 보안 강화 & 내부 문서 관리
✅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은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터넷과 차단된 별도의 내부망(행정망, 군사망 등)을 운영
✅ 문서 결재, 공문 발송, 대민 행정 서비스 등을 위한 시스템 포함
- 온나라 시스템 (행정안전부) : 공무원용 전자결재 & 업무 시스템
- 국방 인트라넷 : 군사 기밀 보호를 위한 독립 네트워크 운영
- 법원 내부망 (전자소송 시스템) : 판사 & 변호사 전용 문서 공유 시스템
4) 병원 & 의료기관 – 환자 정보 관리 & 의료진 협업
✅ 병원에서는 환자 진료 기록, 의료진 협업, 검사 결과 조회 등을 인트라넷을 통해 관리
✅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 폐쇄망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 병원(HIS, 병원정보시스템) : 환자 차트, 검사 결과, 처방 기록 관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연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 시스템) : 병원 & 약국 청구 시스템
5) 금융기관 – 보안이 최우선, 인터넷과 분리된 망 운영
✅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기관은 해킹 위험이 크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과 차단된 금융망을 별도로 운영
✅ 내부 직원 전용 금융 정보 조회 시스템, 고객 상담 기록 관리, 전산 시스템 등이 포함
- 은행(금융 전산망) : 핀테크 & 금융 보안 시스템 포함
- 한국거래소(증권사 내부망) : 금융 거래 기록 보호 & 실시간 데이터 공유
- 보험사(보험 고객 관리 시스템) : 사고 접수 & 보상 청구 처리
인트라넷이라는 단어만 들었을 땐 인터넷의 하위 버전인 것 같기도 하고, 뭔가 기술에 뒤처진 느낌이 나기도 하는데요. 사실 인트라넷은 조직의 특성과 그 목적에 맞춰 맞춤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업무 효율성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습니다.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온라인 서점에서 클라우드 회사가 되기까지 (0) | 2025.03.26 |
---|---|
Intel은 왜 흔들리고 있는가 (0) | 2025.03.19 |
POS, 단순한 계산기가 아니다 (0) | 2025.03.17 |
CPU 스펙, 어떤 걸 체크해야 할까? (0) | 2025.03.16 |
전자계약은 어떻게 진행할까? (0) | 2025.03.11 |
스마트워크, 똑똑하고 빨라지는 업무 (0) | 2025.03.11 |
서버도 렌탈할 수 있는 세상 (0) | 2025.03.09 |
ERP는 왜 필요할까?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