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랑입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IT, 문과생이 부드럽게 구워드릴게요!
우리는 매일 인터넷 검색, 영상 시청, 온라인 쇼핑, 메시지 전송 등 많은 행위를 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정작 어떻게 이 모든 것이 연결되는지 깊게 생각해 본 적은 많지 않으셨을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네트워크(Networ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한 번 알아볼까요?
1. 네트워크, 서로 연결된 세상
"우리는 어떻게 인터넷에 연결될까?"
스마트폰으로 검색하고, 유튜브 영상을 보고, 친구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일상.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네트워크(Network) 덕분이랍니다.
💡 네트워크(Network)란?
✅ 서로 연결된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시스템
✅ 단순히 "인터넷"만이 아니라, 집, 회사, 공공기관에서도 네트워크가 사용됨
✅ 우리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서 정보를 찾아 우리 기기로 전송
📌 네트워크의 역할
✔ 데이터 공유 – 이메일 전송, 파일 공유, 클라우드 저장
✔ 통신 – 메신저, SNS, 화상회의, 전화
✔ 서비스 이용 – 웹사이트 접속, 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 네트워크가 없다면?
❌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영상 플랫폼 이용 불가
❌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이메일 같은 서비스 사용 불가
❌ 온라인 쇼핑, 은행 거래, 검색 엔진도 불가능
이렇듯 네트워크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과 소통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필수적인 연결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는 연결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1️⃣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 좁은 범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 예: 집, 회사, 학교의 Wi-Fi, PC방 네트워크
2️⃣ 광범위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 도시, 국가, 전 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예: 인터넷(Internet), 이동통신망(5G, LTE)
LAN은 가까운 거리에서 장치들을 연결하고, WAN은 더 넓은 지역을 연결해 '인터넷'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죠.
2. 네트워크의 핵심 원리
인터넷은 단순히 'Wi-Fi'가 아니라, 전 세계가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로 볼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스마트폰에서 유튜브 영상을 볼 때, 메시지를 보낼 때, 이 모든 과정이 어떤 경로를 통해 연결되는지 이해해 볼까요?
1) 인터넷의 기본 원리 –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 우리가 유튜브, 네이버, 구글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면,
✅ 실제 데이터(영상, 이미지, 글 등)는 서버(Server)에 저장되어 있다.
✅ 우리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정보를 요청하면,
✅ 서버가 데이터를 보내주고, 우리가 화면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쉽게 이해하기 – 인터넷은 "음식 배달 서비스"와 비슷하다!
✔ 서버(Server) = 음식점(데이터 저장소)
✔ 클라이언트(Client) = 손님(정보를 요청하는 기기)
✔ 인터넷 요청(Request) = 주문하기
✔ 인터넷 응답(Response) = 음식 배달
우리는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는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보내준다.
2) IP 주소와 도메인 – 인터넷의 주소 체계
📌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찾아가려면 주소가 필요하다!"
✅ 모든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웹사이트)에는 IP 주소라는 인터넷 주소가 있음.
✅ 예를 들어, 구글(Google)의 IP 주소는 142.250.190.78
✅ 하지만 숫자로 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 우리가 사용하는 도메인(Domain, 예: www.google.com)이 대신 사용됨.
📌 IP 주소 vs 도메인 쉽게 이해하기
✔ IP 주소 = 집 주소
✔ 도메인 = 집 이름
✔ 우리가 인터넷에서 네이버에 접속할 때 www.naver.com을 입력하면, 실제로는 네이버의 IP 주소로 연결됨!
인터넷에서는 'IP 주소'와 '도메인'이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가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
3) 데이터는 어떻게 이동할까? – '패킷(Packet)'과 라우터(Router)
📌 "인터넷에서 데이터는 한꺼번에 전송되지 않는다!"
✅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영상을 볼 때,
✅ 데이터는 작은 조각(패킷, Packet)으로 나뉘어 이동함.
✅ 이 패킷들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최종 목적지(우리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도착
📌 패킷이 이동하는 과정
1️⃣ 스마트폰에서 "유튜브 동영상 재생" 요청
2️⃣ 유튜브 서버에서 영상 데이터를 패킷(조각) 단위로 보냄
3️⃣ **라우터(Router)**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동
4️⃣ 패킷이 도착하면 다시 원래 형태로 합쳐져 영상이 재생됨
인터넷에서 데이터는 작은 조각(패킷)으로 쪼개져 이동하고, 라우터가 최적의 길을 찾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3.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 Wi-Fi, 5G, 광케이블
우리는 그럼 어떤 방식으로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일까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Wi-Fi(와이파이), 5G, 광케이블이 있습니다.
1) Wi-Fi : 가장 흔한 무선 네트워크
✅ Wi-Fi(와이파이)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 우리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방식이다.
✅ 집, 회사, 카페, 공항 등에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이 연결된다.
✅ Wi-Fi 공유기(라우터)가 인터넷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기기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Wi-Fi의 장점 & 단점
✔ 장점 : 설치가 쉽고, 여러 대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가능
✔ 단점 : 벽이나 장애물이 많으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Wi-Fi는 우리 생활에서 가장 흔한 인터넷 연결 방식으로, 무선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5G : 초고속 모바일 네트워크
✅ 5G는 5세대 이동통신(5th Generation Mobile Network)의 약자로, LTE보다 최대 100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모바일 인터넷의 핵심 기술이다.
✅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Wi-Fi 없이도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5G의 특징
✔ 초고속 : 4K, 8K 영상 스트리밍 &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가 LTE보다 훨씬 빠름
✔ 초저지연(Low Latency) : 반응 속도가 빠르며, 실시간 게임 & 자율주행 기술에 유용함
✔ 대량 연결 :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데 적합함
대한민국의 5G 보급률은 세계 최고 수준
3) 광케이블 : 가장 빠른 유선 인터넷
✅ 광케이블(광섬유, Optical Fiber)은 빛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초고속 유선 인터넷 기술이다.
✅ 기존의 구리선보다 훨씬 빠른 속도 &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은 광케이블 기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
📌 광케이블의 특징
✔ 속도 – 최대 10Gbps 이상의 속도를 지원 (Wi-Fi & 5G보다 빠름)
✔ 안정성 – 신호 간섭이 적고, 장거리 전송에서도 속도 저하가 적음
✔ 지연시간(핑)이 짧음 – 온라인 게임, 실시간 화상회의 등에서 끊김 없는 연결 제공
📌 대한민국 광케이블 인터넷 현황
✔ KT, SK브로드밴드, LG U+ 등 통신사에서 전국적으로 광인터넷 서비스 제공
✔ 대부분의 가정 & 기업이 초고속 광케이블 인터넷(기가 인터넷)을 사용 중
💡광케이블은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 방식으로, 주로 가정 & 기업에서 사용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번 포스팅은 다룰 내용이 많아 조금 길어졌습니다.
이제 네트워크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고, 세상과 연결되는 '디지털 인프라'라는 것, 이해 되셨나요?
'문과생이 들려주는 IT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 업체는 어떤 일을 하는가 (0) | 2025.02.18 |
---|---|
대한민국은 어떻게 IT 강국이 되었나 (0) | 2025.02.18 |
무료 게임은 어떻게 돈을 벌까? (0) | 2025.02.17 |
해상도, 얼마나 더 생생해질까 (0) | 2025.02.17 |
인터넷에서 내 정보는 완전히 사라질 수 있을까? (0) | 2025.02.15 |
USB-C 통일 시대, 정말 편리해질까? (0) | 2025.02.14 |
매트릭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5.02.13 |
서버? 호스트? 그게 그 말 아니야? (0) | 2025.02.13 |